식물/갤러리-풀꽃나무7521 백정화 백정화(白丁花) : 꼭두선이과, 늘푸른넓은잎떨기나무 백정화는 오뉴월에 꽃이 만개한 모습이 마치 눈에 덮힌 것 같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하네요. 그래서 일명 유월설(六月雪)이라 불리기도 한답니다. "백"의 유래는 그렇고 "丁"은 꽃이 핀 모습을 옆에서 보면 "丁"자 같이 보여서 붙은 것이라는 설.. 2007. 10. 1. 바위솔 바위솔 : 돌나물과, 여러해살이풀 동네 산에서 천마산으로 넘어가던 중에 산 능선 양지바른 곳에 있는 바위 위에서 발견했습니다. 이런 거 야생에서 직접 발견하면 정말 즐겁습니다. 거기다가 색마저 울긋불긋하니 금상첨화입니다. 평소 막연히 바위솔류는 꽃을 피우지 않을 거라 생각했는데 이 친구.. 2007. 10. 1. 강활-열매 강활의 열매로 판단하였습니다. 일전에 강활에 대해 글을 올리면서 열매 부분에 대한 의문을 풀지 못하였는데 이제서야 풀게 되었네요. 이전 글에서 보이던 열매가 완전히 성숙하면 아래 사진 속에 있는 것처럼 변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밑에서 우산살처럼 퍼진 꽃대가 세어 보면 11개입니다. 강활의 .. 2007. 9. 30. 며느리배꼽-열매 며느리배꼽의 열매입니다. 푸르스름한 것이 다 익은 열매입니다. 사진만 올립니다. 2007. 9. 30. 털여뀌 천변을 지나는데 저만큼 아래서 유난히 붉은 꽃이삭을 매달고 있는 식물이 보이기에 내려가 봤더니 여뀌 종류였습니다. 평소에 들어본 바 있는 꽃여뀌라는 게 바로 이것인가 보다 하고 속으로 쾌재를 불렀습니다. 그래 이 정도 ?이 붉어야 꽃여뀌라는 이름이 붙을 자격이 있는 거야 생각했습니다. 그.. 2007. 9. 30. 쇠별꽃 쇠별꽃 : 석죽과, 두해살이풀 또는 여러해살이풀 별꽃....... 정말 감회가 새롭습니다. 올 3월 15일 이 블로그를 시작하면서 가장 먼저 올린 꽃이 바로 별꽃입니다. 벌써 반 년이 훌쩍 지났네요. 그때만 해도 디카 다룰 줄도 몰라서 엄청 흐린 사진을 올려 놓았고 나중에 사진술이 좀 더 나아진 후에 별꽃.. 2007. 9. 30. 애기나팔꽃 애기나팔꽃 : 메꽃과, 덩굴성 한해살이풀 동네 하천변에서 찍은 건데 나팔꽃 종류일 거라는 생각은 전혀 못하고 나팔꽃 종류가 있는 페이지는 그냥 넘기면서 도감을 다 뒤져도 유사한 꽃이 안 나오네요. ㅠㅠ 간신히 찾았는데 허무하게도 애기나팔꽃입니다. 꽃은 깔때기 모양이며 꽃대는 잎보다 짧습.. 2007. 9. 30. 구기자나무-열매 구기자나무의 열매 사진입니다. 동네 아파트 철책에 개나리처럼 걸려 있는 나무에서 찍은 겁니다. 구기자나무는 개화시기가 긴 식물로 꽃이 아직도 피어 있더군요. 구기자나무의 꽃은 언제 봐도 멋있습니다. 구기자나무의 일반사항에 대해서는 다음을 참조하세요. ---> 여기 클릭 2007. 9. 30. 유홍초/둥근잎유홍초 유홍초/둥근잎유홍초 : 메꽃과, 한해살이풀 둥근잎유홍초와 유홍초는 둘 다 열대아메리카 원산으로 관상용으로 재배하고 있습니다. 둥근잎유홍초는 야생화되었으나 유홍초는 아직 야생화가 되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둥근잎유홍초는 요즘이 한창 개화기입니다. 사진 속의 꽃도 어제 동네 뚝에서 .. 2007. 9. 30. 국화 국화 : 국화과, 여러해살이풀 가을을 대표하는 꽃을 꼽으라면 무엇이 영예의 자리에 오를까요? 아마도 코스모스나 국화 정도가 되겠지요? 흔하기 때문에 오히려 놓치는 경우가 있을까봐 잠실 석촌호수에서 만난 김에 얼른 찍어봤습니다. 물론 다른 거 특별히 찍을 게 없었기 때문이기도 하지요. ^^ 오.. 2007. 9. 30. 뽕모시풀 뽕모시풀 : 뽕나무과, 한해살이풀 어디 좀 갔다가 돌아오는 길에 잠실 석촌호수에 잠깐 들려서 화단에서 찍은 겁니다. 전에도 말씀드린 바 있는데, 이제는 좀 적응이 되긴 했지만, 아직도 풀꽃이 나무하고 같은 과에 속하고 있으면 조금 낯선 느낌이 듭니다. 시간이 없다는 핑게로 아직은 식물의 분류.. 2007. 9. 30. 선씀바귀 선씀바귀 : 국화과, 여러해살이풀 촬영장소는 큰석류풀과 같이 오산버스터미널 근처입니다. 큰석류풀은 처음 보는 식물이라 관심을 두었지만 이건 씀바귀 종류이기에 그냥 흰씀바귀 정도로 알고 찍어봤습니다. 그런데 집에 와서 보니 씀바귀는 혀꽃이 5~8개라서 이 식물이 씀바귀의 흰꽃이 아니라는 .. 2007. 9. 29. 전동싸리 전동싸리 : 콩과, 두해살이풀 전동싸리는 이전에 이미 찍은 것으로 생각하고 대충 한 번 찍어봤는데 이전에는 흰전동싸리만 찍은 모양이네요. 하여튼 사진은 대충 찍어오면 나중에 꼭 후회합니다. 꽃은 가지 끝이나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총상꽃차례에 핍니다. 노랑개자리라는 것도 있던데 여타 특성.. 2007. 9. 29. 지채 지채 : 지채과, 여러해살이풀, 염생식물 제부도에서 찍은 몇 안되는 종류의 식물들 중에서 이것만은 비교적 쉽게 찾았네요. 바닷가 모래사장을 걸어가는 한쪽에 잡초 같아 보이는 게 잔뜩 모여 있기에 일단 찍어 와봤는데 이름도 처음 들어보는 거네요. 꽃대와 잎이 모두 줄기도 없이 땅에서 솟아나온 .. 2007. 9. 29. 억새와 갈대 억새, 갈대 : 벼과, 여러해살이풀 아~~ 아~~ 으악새 슬피 우니 가을인가요~~ 이 노래야 뭐 국민가요이니 나이에 관계없이 모르는 사람이 없을 줄 압니다. 여기서 으악새는 조류의 한 종류를 말하는 게 아니고 억새의 사투리라는 것도 이제는 주지의 사실입니다. 그런데 이 억새와 갈대를 구분하는데 어려.. 2007. 9. 28. 이전 1 ··· 463 464 465 466 467 468 469 ··· 502 다음